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강화학습
- 헝가리안노테이션
- Sarsa
- 스네이크케이스
- 케밥케이스
- off-policy
- 딥러닝
- 도커 개념
- 도커 컨테이너
- on-policy
- 큐러닝
- 배반사건
- 연합학습
- 산업공학
- 카멜케이스
- routing problem
- 유전알고리즘
- 몬테카를로 학습
- 파스칼케이스
- Federated learning
- 확률공리
- Metaheuristic
- Docker Image
- q learning
- 코딩스타일
- genetic algorithm
- multi task learning
- Traveling salesman problem
- mmoe
- 그리드월드
Archives
- Today
- Total
SU Library
[개발이야기] 변수 표기법에 대한 소개 본문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개발을 하다보면 항상 회자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는 바로 일관된 코딩스타일을 가져 생산성을 높히는것입니다. 이러한 암묵적인 약속을 세움으로써 협업하는 개발자들의 시각에서 코드 분석에 대한 이점을 가지고 더욱 견고한 코딩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표기법의 종류
널리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표기법은 카멜표기법 - Camel Case, 스네이크표기법 - Snake Case, 케밥표기법 - Kebab Case, 파스칼표기법 - Pascal Case, 헝가리안표기법 - Hungurian Notation 이 있습니다. 각 표기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카멜표기법 - Camel Case
- 처음단어의 첫문자는 소문자, 다음단어의 첫문자는 대문자
- 표기예시 ) userName, userId, codeNumber
주로 변수명,함수명을 카멜표기법으로 작성합니다.
스네이크표기법 - Snake Case
- 모든 단어의 문자가 소문자 or e대문자로 구성됨
- 각 단어 사이에 구분을 '_' (언더바)로 표기함
- 표기예시 ) user_name, USER_ID, code_number
주로 여러단어로 이루어진 변수명을 정할때 사용되었습니다. 과거에 띄어쓰기가 되지않는 파일이름을 정할때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최근엔 카멜케이스를 더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케밥표기법 - Kebab Case
- 각 단어 사이에 구분을 '-' (대시)로 표기함
- 표기예시 ) user-name, user-id, code-number
케밥 케이스는 주로 URL을 표기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다음의 5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가독성과 사용자 친화성 - URL은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요소로 단어 사이에 대시를 사용하여 각 단어를 명확하게 구분해주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습니다.
- 특수 문자 제한 - 케밥 케이스는 단어 사이에 대시를 사용하여 단어를 분리하므로, URL의 구조를 깨지 않고 유효한 문자만 사용가능합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URL의 구조를 깨지 않고 유효한 문자만 사용하여 URL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검색 엔진 최적화(SEO) - URL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색인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 엔진에서 페이지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링크 공유와 복사/붙여넣기 - 공백이나 특수 문자가 없는 URL은 다른 플랫폼이나 소셜 미디어에서도 깨지지 않고 정확하게 복사되고 붙여넣기될 수 있습니다.
- 플랫폼 호환성 - 케밥 케이스는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유지하므로 대소문자 호환성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플랫폼에서 일관되게 동작하고 호환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파스칼표기법 - Pascal Case
- 모든 단어의 첫문자는 대문자로 표기함
- 표기예시 ) UserName, UserId, CodeNumber
헝가리안표기법 - Hungurian Notation
- 마이크로 소프트사에 다니는 헝가리출신의 개발자가 창시한 표기법
- 접두어에 자료형 붙임
- 표기예시 ) strUserName, strUserId, intCodeNumber
최근 IDE의 발전으로 인해 변수의 타입에 대한 표시가 쉽게 가시화되면서 사용빈도가 확연히 줄게되었습니다. 예시로 마우스만 갖다대도 변수가 어떤타입인지 확인가능함
Comments